줄거리
《대도시의 사랑법》은 서울이라는 거대한 무대 위에서 소소한 우연들이 모여 만들어지는 두 인물의 20살 대학시절부터 시작되는 특별한 이야기를 그립니다. 눈치보지 않고 내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는 자유로운 영혼 **재희(김고은)**는 우연히 **흥수(노상현)**를 만나게 됩니다. 흥수는 세상과 일정한 거리를 두는 남자지만, 재희의 당당함과 속마음을 드러내는 태도에 점차 마음이 열립니다. 두 사람은 영화 내내 공식적인 ‘로맨스’라기보다 서로의 거울처럼, 때로는 친구처럼 삶의 구석구석을 함께 채워 나가며 웃음과 설렘, 가끔씩은 서운함을 교환합니다. 이들의 관계는 동거 아닌 동거, 연애 아닌 연애로 이어지고, 일상적인 선택들과 고백, 티격태격 사이에서 그들만의 사랑법을 완성해 갑니다.
작품 의미
이 영화는 ‘사랑’이라는 단어 앞에 붙는 여러 수식어를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연애, 동거, 우정, 연대, 자기애... 이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관계의 형태를 보여줍니다. 특히 흥수는 ‘남들과 조금 다른 나를 인정받고자하는 내면은 있지만 과정 속 다름을 감내하기 쉽지 않아 남들에게 기대지 않고 살자’는 태도를 고수하지만, 재희 앞에서는 자신의 틈을 인정하게 되고, 다시 일상을 지켜가는 연대의 의미를 찾습니다. 반면 재희는 담담하고 직설적으로 보이지만 현실의 조심스러움과 불안을 감추지 않으며, 흥수를 통해 조금씩 세상과 타인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죠. 이처럼 ‘완벽하지 않아도 되는 우리’, **‘너와 내가 서로의 구원함이 될 수 있다’**라는 메시지는 이 영화가 던지는 가장 진한 울림입니다.
감독
연출을 맡은 이언희 감독은 캐릭터의 내밀한 감정과 도시의 일상을 자연스럽게 포착하는 솜씨로 호평받고 있습니다. 그는 “20대의 애수” 같은 감정을 고스란히 본인 작품에 담아내며, 원작자인 박상영 작가와 협업해 재희와 흥수가 살아 숨 쉬는 현실적 인물로 세워졌습니다. 특히 이 감독은 촬영 전에 배우들과 충분한 교감을 나뒀고, 김고은에 대해서는 “‘재희는 김고은밖에 없다’는 생각이었다”고 밝히며 캐스팅에 깊은 확신을 내비쳤습니다 . 또 배경 설정이나 인물의 생활 방식에도 도시의 리듬을 감각적으로 담아냈고, ‘팝업하듯 나타나 일상에 흔적을 남기는 관계’를 밀도 있게 그리는 연출이 눈에 띕니다.
리뷰
영화는 뻔한 드라마 대신 현실적이고 쓸쓸한 설렘을 선택합니다. 두 사람의 관계는 특별하지만, 그 특별함은 ‘화려함’이 아닌 ‘서투름’에서 비롯되죠. 김고은은 솔직하고 당당하지만, 여전히 불안한 재희의 이면을 리얼하게 연기했고, 노상현 역시 흥수의 감정을 숨기려는 태도 속에서 작게 흔들리는 균열을 세심히 그려냈습니다 . 두 배우의 케릭터 케미는 ‘찐친 케미’라는 평까지 나올 만큼 자연스럽고 정겨워 보였고 토론토 국제영화제에 초청되며 작품성을 인정받기도 했습니다. 흥행 면에서도 개봉 직후 예매율 1위를 기록하며 관객의 호응을 얻었고, 특히 결혼식 장면은 많은 관객들에게 가장 감명 깊은 장면으로 회자 될 만큼 입소문은 ‘소중한 사람과 다시 보고 싶은 영화’라는 평을 받기에 충분했습니다.